듣기연습 | 출력하기 | 따라말하기 | 문제풀이 | 해석보기 | 정답확인 | 단어암기 | 설명보기 | 말하기연습
렉사일(Lexile)이란?
너무 어려운 책을 읽으면 흥미를 잃고, 너무 쉬운 책만 읽으면 실력이 늘지 않아요. 렉사일 지수를 활용하면 딱 맞는 책을 찾아줄 수 있어요!
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렉사일 지수보다 50L 아래에서 100L 위 정도의 책을 읽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해요.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약간 도전적인 수준이기 때문이죠.
렉사일 자세히 알아보기 ➡️ https://wonhada.tistory.com/128
가볍게 여러번 들어보세요! 👇
프린터로 출력해서 쓰면서 하세요! 다운로드 ⬇️
한 줄씩 듣고 따라 말하며 쉐도잉(Shadowing) 하세요!
![]() |
Rianne was not a typical language teacher. She believed that reading was more than just decoding letters. She had studied countless research papers from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One study by Cho and his team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howed something amazing. Reading intervention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showed a fairly high effect size of 0.653. Strategy-embedded instruction was the most effective, especially in groups of 6–15 students. Rianne nodded. Smaller groups helped students stay engaged. She also liked what Babayan and other researchers had found. Reading increases vocabulary, improves grammar, and boosts listening skills. Ultimately, it helps with real communication. She printed out quotes from Nuttall and Grabe. Nuttall said, “The best way to learn a language is to live in it or read it extensively.” Grabe emphasized that reading predicts academic success across all subjects. Those words matched her own experience. Another paper by Elley stated that free reading builds comprehension and overall language ability. Rianne placed that one on her wall. It reminded her why she gave students time to read what they liked. Experts like Alan Maley and Stephen Krashen agreed. Maley believed that choosing your own books builds motivation and independence. Krashen found that sustained silent reading boosts spelling, vocabulary, writing, and general knowledge. Out of 54 studies, 51 showed better comprehension with silent reading. Rianne shared this with her students. “Reading is the most accessible form of input,” she said. “Input is how we learn language.” They didn’t understand it all, but they felt her passion. One student, Navin, raised his hand. “What’s the best way to read in English?” She smiled. “Start by understanding the gist. Don’t read word by word at first.” She explained skimming and scanning. “They're not just tricks. They’re real strategies used by native speakers too.” Rianne reminded them to activate prior knowledge and predict vocabulary. “Use visuals and titles before diving in.” The class slowly began to enjoy reading. They stopped fearing big texts. They celebrated understanding ideas, not just words. Their confidence grew. And Rianne knew—this was the real goal of teaching. |
문제를 풀어보세요! 정답은 마지막에 있어요.
[문제 1] 단어
다음 중 "intervention"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
① punishment
② change for help
③ entertainment
④ delay
[문제 2] 단어
다음 중 "comprehension"의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confusion
② guessing
③ understanding
④ memorizing
[문제 3] 단어
다음 중 "accessible"과 가장 가까운 뜻을 고르세요.
① rare
② expensive
③ easy to reach
④ dangerous
[문제 4] 단어
다음 중 "prior"의 뜻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① after
② before
③ new
④ during
[문제 5] 단어
다음 중 "predict"와 뜻이 비슷한 것은?
① forget
② decide
③ imagine
④ guess
[문제 6] 빈칸 채워넣기
Stephen Krashen said that reading is the most ______ form of input.
① difficult
② hidden
③ accessible
④ expensive
[문제 7] 빈칸 채워넣기
Strategy-embedded instruction worked best in groups of ______ students.
① 3–5
② 6–15
③ 16–30
④ over 30
[문제 8] 빈칸 채워넣기
Grabe believed that reading is a predictor of ______ success.
① emotional
② physical
③ academic
④ financial
[문제 9] 내용 이해
Rianne이 전략적 읽기 방법을 중시한 이유는 무엇인가?
① 학생들이 단어를 더 많이 외울 수 있어서
② 연구에서 전략이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있었기 때문에
③ 시험 점수를 올릴 수 있어서
④ 자신이 영어를 못해서
[문제 10] 내용 이해
Rianne이 인용한 Nuttall의 핵심 주장은 무엇인가?
① 언어 학습은 단어 암기로 시작해야 한다
② 언어를 배우기 위해선 게임이 효과적이다
③ 책을 많이 읽는 것이 언어를 배우는 최선의 방법이다
④ 문법 위주로 공부해야 실력이 는다
[문제 11] 내용 이해
Rianne이 Stephen Krashen의 연구를 학생들과 공유한 이유는 무엇인가?
① 듣기보다 말하기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기 위해
② 책을 소리 내어 읽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기 위해
③ 조용한 독서가 여러 언어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④ 독서보다 문법이 더 중요하다고 말하기 위해
[문제 12] 내용 이해
Rianne이 "Don’t read word by word"라고 말한 이유는?
① 영어 단어는 다 외워야 하기 때문에
② 의미 파악보다 단어 해석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③ 영어 책이 너무 어렵기 때문에
④ 전체 의미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믿어서
[문제 13]
Rianne처럼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키우기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방법을 세 문장 이상으로 써 보세요.
이해한 내용과 비교해보세요!
![]() |
리안은 전형적인 언어 교사가 아니었다.
그녀는 읽기가 단순히 글자를 해독하는 것 이상이라고 믿었다. 그녀는 전 세계의 대학에서 발표된 수많은 연구 논문을 공부했다. 서울대학교의 조 교수와 그의 팀이 발표한 연구는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영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중재가 상당히 높은 효과 크기 0.653을 보였다는 것이다. 특히 6~15명의 학생이 있는 그룹에서 전략을 포함한 수업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리안은 고개를 끄덕였다. 작은 그룹이 학생들이 더 잘 참여하도록 도와주었다. 그녀는 바바얀과 다른 연구자들이 발견한 내용도 마음에 들어 했다. 읽기는 어휘를 증가시키고, 문법을 향상시키며, 듣기 능력을 키운다. 궁극적으로 이는 실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된다. 그녀는 나탈과 그레이브의 인용구를 출력했다. 나탈은 “언어를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안에서 살거나 광범위하게 읽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레이브는 읽기가 모든 과목에서 학업 성공을 예측한다고 강조했다. 그 말들은 그녀 자신의 경험과 일치했다. 엘리의 또 다른 논문은 자유로운 읽기가 이해력과 전반적인 언어 능력을 키운다고 밝혔다. 리안은 그것을 벽에 붙였다. 그것은 왜 그녀가 학생들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책을 읽을 시간을 주는지 상기시켜주었다. 앨런 말리와 스티븐 크래센과 같은 전문가들도 동의했다. 말리는 자신이 좋아하는 책을 선택하는 것이 동기부여와 독립성을 키운다고 믿었다. 크래센은 지속적인 침묵 독서가 철자, 어휘, 글쓰기, 그리고 일반 지식을 향상시킨다고 발견했다. 54개의 연구 중 51개는 침묵 독서를 통해 더 나은 이해력을 보였다고 밝혔다. 리안은 이를 학생들과 공유했다. “읽기는 가장 접근 가능한 입력 형태입니다,”라고 그녀는 말했다. “입력은 우리가 언어를 배우는 방법입니다.” 학생들은 모두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그녀의 열정을 느꼈다. 한 학생, 나빈이 손을 들었다. “영어로 읽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그녀는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처음에는 전체적인 의미를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단어 하나하나를 읽으려고 하지 마세요.” 그녀는 스키밍과 스캐닝을 설명했다. “이것들은 단순한 요령이 아닙니다. 원어민들이 사용하는 진짜 전략이에요.” 리안은 학생들에게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어휘를 예측하라고 상기시켰다. “시작하기 전에 시각 자료와 제목을 활용하세요.” 수업은 점차 읽는 것을 즐기기 시작했다. 그들은 더 이상 긴 텍스트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들은 단어만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것을 기뻐했다. 그들의 자신감은 자랐다. 그리고 리안은 알았다—이것이 바로 진정한 교육의 목표라는 것을. |
정답을 확인하세요!
- ② change for help
- ③ understanding
- ③ easy to reach
- ② before
- ④ guess
- ③ accessible
- ② 6–15
- ③ academic
- ② 연구에서 전략이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있었기 때문에
- ③ 책을 많이 읽는 것이 언어를 배우는 최선의 방법이다
- ③ 조용한 독서가 여러 언어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 ④ 전체 의미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믿어서
- 쓰기 예시
- I can start by reading books that interest me.
- I will try to understand the main idea, not every word.
- I will keep a notebook to write down useful words and phrases.
오늘 단어는 오늘 끝내자!
intervention | 중재, 개입 | The teacher used an intervention to help students focus. | 교사는 학생들이 집중하도록 중재를 사용했어요. |
strategy | 전략 | We learned a new reading strategy in class. | 우리는 수업에서 새로운 읽기 전략을 배웠어요. |
accessible | 접근 가능한 | The website is accessible to everyone. | 그 웹사이트는 모두가 접근할 수 있어요. |
comprehension | 이해력 | Good readers have strong comprehension. | 훌륭한 독자는 뛰어난 이해력을 가져요. |
predictor | 예측 변수 | Reading is a predictor of academic success. | 독서는 학업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요소예요. |
sustained | 지속적인 | Sustained reading improves vocabulary. | 지속적인 독서는 어휘력을 향상시켜요. |
motivation | 동기 | Choosing your own book builds motivation. | 자신이 책을 고르면 동기가 생겨요. |
prior | 이전의 | Use your prior knowledge before reading. | 읽기 전에 배경지식을 활용하세요. |
gist | 요점 | Try to understand the gist first. | 먼저 요점을 이해하려고 해보세요. |
visual | 시각 자료 | Use visuals to help understand. | 이해를 돕기 위해 시각 자료를 사용하세요. |
skimming | 훑어 읽기 | Skimming helps find the main idea quickly. | 훑어 읽기는 주요 아이디어를 빠르게 찾게 해요. |
scanning | 찾아 읽기 | Scanning is useful for finding facts. | 사실을 찾기 위해 스캐닝은 유용해요. |
vocabulary | 어휘 | Reading grows your vocabulary. | 읽기는 어휘를 키워줘요. |
predictor | 예측 지표 | The test score is not the only predictor. | 시험 점수만이 예측 지표는 아니에요. |
embedded | 내재된, 포함된 | The lesson included embedded strategies. | 수업에는 전략이 포함되어 있었어요. |
extensive | 광범위한 | Extensive reading helps language learning. | 광범위한 독서는 언어 학습에 도움이 돼요. |
autonomy | 자율성 | Reading freely builds learner autonomy. | 자유롭게 읽는 것은 학습자의 자율성을 길러요. |
input | 입력 | Language learning starts with input. | 언어 학습은 입력에서 시작돼요. |
group size | 그룹 크기 | Medium group size works best. | 중간 규모 그룹이 가장 효과적이에요. |
free reading | 자유 독서 | Free reading boosts language skills. | 자유 독서는 언어 능력을 높여줘요. |
쉽게 설명해 줄게요!
She believed that reading was more than just decoding letters.
"그녀는 읽기가 단순히 글자를 해독하는 것 이상이라고 믿었어요."
- 직독직해: 그녀는 믿었어요 / 읽기가 / 단순히 글자를 해독하는 것 이상이라고.
- decoding letters: '글자를 해독하는 것'은 글자를 한 글자씩 읽어내는 것을 의미해요. 하지만 Rianne은 그 이상의 의미를 강조해요.
- 비슷한 문장:
"She thought reading was more than just recognizing words."
"Reading, for her, was more than simply interpreting letters."
She had studied countless research papers from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그녀는 전 세계 대학에서 나온 수많은 연구 논문을 공부했어요."
- 직독직해: 그녀는 공부했어요 / 전 세계 대학에서 나온 / 수많은 연구 논문을.
- countless: '수많은'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양을 뜻해요.
- 비슷한 문장:
"She had reviewed numerous academic papers from around the globe."
"She went through many research articles from universities worldwide."
One study by Cho and his team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howed something amazing.
"서울대학교의 조 교수와 그의 연구팀이 한 연구는 놀라운 것을 보여줬어요."
- 직독직해: 하나의 연구는 / 조와 그의 팀이 / 서울대학교에서 / 놀라운 것을 보여줬어요.
- showed something amazing: '놀라운 것을 보여줬다'는 뜻으로, 연구 결과가 특별하고 흥미로웠다는 의미예요.
- 비슷한 문장:
"A study from Cho and his team revealed something incredible."
"The research conducted by Cho's team demonstrated something surprising."
Reading intervention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showed a fairly high effect size of 0.653.
"영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개입은 0.653이라는 꽤 높은 효과 크기를 보였어요."
- 직독직해: 읽기 개입은 / 영어 학습자들을 위한 / 꽤 높은 효과 크기를 보였어요.
- effect size: '효과 크기'는 연구 결과가 얼마나 강력한지를 나타내는 수치예요. 여기서는 0.653이라는 수치가 그 효과를 나타내요.
- 비슷한 문장:
"Reading interventions for English learn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f 0.653."
"The reading intervention showed a high effect size of 0.653."
Strategy-embedded instruction was the most effective, especially in groups of 6–15 students.
"전략을 포함한 교육법이 가장 효과적이었어요, 특히 6~15명의 학생들 그룹에서는요."
- 직독직해: 전략을 포함한 교육법은 / 가장 효과적이었어요, / 특히 6~15명의 학생들 그룹에서는요.
- strategy-embedded instruction: '전략을 포함한 교육법'은 특정 전략을 수업에 녹여내는 방식을 뜻해요.
- 비슷한 문장:
"Instruction that includes strategies worked best, especially in smaller groups."
"Teaching that integrates strategies proved most effective, particularly in groups of 6 to 15 students."
스피킹 연습도 해보세요!
수고하셨어요!
매일 매일 연습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영어 사고가 익숙해 지는 날이 반드시 옵니다!
영어로만 생각하고 말하기 + 반복하기 = 영어 완전 정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