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사일(Lexile)이란?
너무 어려운 책을 읽으면 흥미를 잃고, 너무 쉬운 책만 읽으면 실력이 늘지 않아요. 렉사일 지수를 활용하면 딱 맞는 책을 찾아줄 수 있어요!
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렉사일 지수보다 50L 아래에서 100L 위 정도의 책을 읽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해요.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약간 도전적인 수준이기 때문이죠.
렉사일 자세히 알아보기 ➡️ https://wonhada.tistory.com/128
소리 내어 읽어보세요!
![]() |
James was a bright college student with big dreams. But he had one major flaw—he always procrastinated. Whenever he received an assignment, he told himself there was plenty of time. Days would pass, and he'd convince himself that he worked better under pressure. One semester, he had to write a 20-page research paper for his economics class. The professor reminded students every week to start ear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orough research and revision. But James ignored the advice. He kept pushing the task aside, believing he could complete it in one intense overnight session. The night before the deadline, panic set in. He rushed to gather sources, but many scholarly articles required subscriptions he didn’t have. He scrambled to write coherent arguments, but without careful planning, his paper was disorganized. He barely got any sleep and submitted the paper at the last minute, hoping for the best. A week later, the professor handed back the graded papers. James had received a disappointing C-. The feedback pointed out weak arguments, lack of proper citations, and careless mistakes. Frustrated, he realized that waiting until the last minute had cost him a better grade. Determined to change, James decided to break his assignments into smaller tasks. For his next paper, he researched early, outlined his arguments, and revised multiple times. When the results came in, he had earned an A. The lesson was clear: planning ahead wasn’t just advice—it was the key to success. |
문제를 풀어보세요! 정답은 마지막에 있어요.
[문제 1] 주제 이해
다음 이야기의 주제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① 계획을 세우는 것의 중요성
② 긴급한 상황에서 일하는 능력
③ 숙제를 빨리 끝내는 방법
④ 대학 생활에서의 스트레스와 압박감
[문제 2] James의 습관
James의 주요 문제점은 무엇이었는가?
① 항상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
② 과제에 대한 흥미가 부족했다
③ 일을 미루고 나중에 하겠다고 생각했다
④ 숙제를 빨리 끝내고 싶어 했다
[문제 3] 교수의 조언
교수가 James에게 반복해서 강조한 것은 무엇인가?
① 과제를 빨리 제출해야 한다
② 매주 과제의 일부분을 제출해야 한다
③ 철저한 조사와 수정의 중요성
④ 그룹 프로젝트를 통해 과제를 진행해야 한다
[문제 4] James의 마지막 밤
James가 과제 마감일의 마지막 밤에 겪은 일은 무엇인가?
① 과제를 쉽게 끝냈다
② 많은 자료를 찾을 수 없었다
③ 교수에게 마지막으로 도움을 요청했다
④ 과제를 정확히 계획했다
[문제 5] James의 첫 번째 결과
James가 첫 번째 과제에서 받은 성적은 무엇이었는가?
① A
② B+
③ C-
④ A+
[문제 6] James의 변화
James는 어떻게 과제를 개선했는가?
① 교수의 조언을 무시하고 반복해서 미뤘다
② 과제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고, 미리 계획을 세웠다
③ 더 많은 자료를 찾아 밤새워 작업했다
④ 과제에 대해 친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문제 7] 이야기의 교훈
이 이야기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인가?
① 마지막 순간에 집중하면 모든 일이 잘 해결된다
② 계획을 세우고 일정을 관리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이다
③ 일찍 시작하면 결과가 항상 더 나쁘다
④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해한 내용과 비교해보세요!
![]() |
제임스는 야심 찬 대학생이었지만, 한 가지 치명적인 약점이 있었다. 바로 미루는 습관이었다. 과제가 주어질 때마다 그는 "아직 시간이 많아"라고 생각했다. 날이 지나도 여유가 있다고 스스로를 안심시켰고, 오히려 압박이 있어야 더 잘한다고 믿었다. 그 학기에 그는 경제학 수업에서 20페이지짜리 연구 논문을 작성해야 했다. 교수님은 매주 미리 시작하라고 강조하며, 철저한 연구와 수정의 중요성을 이야기했다. 하지만 제임스는 그 조언을 무시했다. 그는 마지막 하루 밤 동안 몰아서 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마감일 전날, 그는 극심한 불안감에 휩싸였다. 자료를 찾으려 했지만, 유료 학술지라 접근할 수 없는 논문이 많았다. 논리를 정리하지 않은 채 글을 쓰려니 논문은 엉망이 되었다. 거의 잠을 못 자고 마감 직전에 제출하면서, 그저 좋은 결과를 바라야 했다. 일주일 후, 교수님이 채점된 논문을 돌려주었다. 그의 성적은 C-였다. 피드백에는 논리가 약하고, 인용이 부정확하며, 실수가 많다고 적혀 있었다. 그는 마지막 순간까지 미룬 대가를 혹독하게 치렀다는 걸 깨달았다. 이후 그는 과제를 작은 단위로 나눠서 계획적으로 진행하기로 결심했다. 다음 논문에서는 일찍 자료를 조사하고, 논리를 정리하며, 여러 번 수정했다. 결과는 A. 그는 마침내 깨달았다. 미리 준비하는 것은 단순한 조언이 아니라, 성공의 열쇠라는 것을. |
정답을 확인하세요!
- ① 계획을 세우는 것의 중요성
- ③ 일을 미루고 나중에 하겠다고 생각했다
- ③ 철저한 조사와 수정의 중요성
- ② 많은 자료를 찾을 수 없었다
- ③ C-
- ② 과제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고, 미리 계획을 세웠다
- ② 계획을 세우고 일정을 관리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이다
수고하셨어요!
매일 매일 연습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영어 사고가 익숙해 지는 날이 반드시 옵니다!
영어로만 생각하고 말하기 + 반복하기 = 영어 완전 정복!!